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

아카이브칼럼

칼럼

Ethics of communicating with generative AI chatbots
AI chatbots like ChatGPT blur the line between human and machine, at the same time captivating minds and raising alarms. Having been swiftly integrated into search engines and programmes, these bots lack clear boundaries. Jeffrey Chan dissects the et
aihumanities2023-09-1261
인공지능의 생성 오류와 창의성
인터넷 플랫폼 을 실행하는 GAN 알고리즘은 가장 사진과 흡사한 이미지를 산출하는 생성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GAN은 학습용 원본 데이터와 유사한 가짜 데이터의 생성에 최적화된 모델이며, 이 플랫폼은 그 중에서도 여러 단점을 보완하여 개량된 StyleGAN2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플랫폼의 실행 과정에서 산출되는 왜곡 이미지는 프로그램의 본래 의도에서 벗어나 있다. StyleGAN은 사람의 실제 얼굴과 흡사한 이미지를 생성하..
aihumanities2023-09-0477
포스트휴먼, 그 오래된 미래와 우주적 연대
내게는 여러 번 보고도 볼 때마다 새로워서 꾸준히 다시 보게 되는 애니메이션이 있다. 마츠모토 레이지(松本零士, 1938~2023)의 SF 만화 가 그것이다. 유년기에 보았던 는 그저 과거에만 머물지 않고 몇 번이고 다시 와서 나를 툭 건드린다. 서늘하고 처연한 겨울밤을 떠올리게 하는 이 만화는 무려 1970년대에 제작되었다. 1970년대에 상상한 2220년대는 어떤 모습일까? 또, 2023년에 상상해 보는 2220년대는 어떤 모습일까? 옴니버..
aihumanities2023-08-2875
가상현실의 실패와 혼합현실
지난 팬데믹 기간을 지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온라인 활동을 통해 비대면에 익숙해지면서 메타버스(Metaverse)가 크게 주목을 받았지만 코로나가 종식되고 이전의 일상을 회복하게 되면서 뜨거운 관심은 수그러들었다. 많은 사람들이 메타버스의 긍정적 미래를 제시했지만 충분히 성숙되지 않은 기술 수준으로 인해 기대에 미치지 못한 서비스만 존재했으며 메타버스라는 용어만 난립했다. 메타버스라는 명칭은 매우 다양한 개념을 포괄하는 엄밀하지 못한 용어..
aihumanities2023-08-2276
디지털 인문학에서 연구 데이터 공유가 왜 중요한가?
1. 데이터로 논증하는 인문학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이하 DH)의 정의와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는 여전히 갑론을박이 많고 앞으로도 계속 다뤄져야 할 주제이다. 하지만 DH 연구에서 (디지털) 데이터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통적인 인문학 연구가 사료와 선행연구에 연구자의 치밀한 논리가 엮인 것이라고 한다면, DH 연구는 거기에 디지털 형태의 자료가 사료와 선행연구만큼 중요한 ..
aihumanities2023-08-14268
생성형 인공지능이 생성하지 못하는 이야기
2023년 3월 처음 공개된 챗지피티는 인공지능의 역사에 또 한 번의 전환점을 낳았다. 챗지피티를 접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술이 기어이 여기까지 온 데에 놀라움과 허탈함을 표현했고, 일부 전문가들은 챗지피티가 오류를 범할 때까지 무한히 대답을 생성하고 또 생성했다. 챗지피티가 놀라웠던 것은 인공지능이 분석과 예측에서 나아가 생성까지 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며 심지어 그 대답도 꽤 길고, 비교적 정확하고, 때로는 창의적이기까지 했기 때문이다. 주어진..
aihumanities2023-08-08108
생성형 AI 리터러시에 대한 단상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전세계적인 관심은 확실히 메타버스나 블록체인, NFT 등 과거 유사한 버즈워드로 등장한 신기술에 향했던 그것과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먼저 인공지능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단순한 수사에 불과하지 않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학위 공부를 하던 필자는 2021년 9월 공부를 마치고 한국에 돌아와 한 가지 당황한 부분이 있었다. 사람들을 만나거나 뉴스 지면을 살필 때마다 ‘메타버스’라는 키워드가 ..
aihumanities2023-07-3190
AI와 공감
AI는 인간을 모델로 하여 발전해 왔다. AI가 발전하면 할수록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더욱 중요해졌다. 인간이라고 규정 지을 수 있는 요소로는 생명, 지능, 연결 등을 들 수 있다. 생명과 지능은 인간이라는 존재를 정의하기에 필수적이면서도 AI의 미래를 전망하는 데에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물리학자이자 미국 MIT 맥스 테그마크(Max Tegmark) 교수는 생명을 ‘라이프 1.0, 라이프 2.0, 라이프 3.0’으로 정의했다. 라..
aihumanities2023-07-1891
인공지능 열풍 속 K-pop의 기대와 우려
인공지능(이하 AI)은 음악 산업의 게임체인저(Game Changer)로 떠오르고 있으며, K-pop에 다양한 형태로 스며들고 있다. AI 기술로 제작한 버추얼 아이돌, 버추얼 가수, 버추얼 아티스트 등을 비롯해 AI 기술을 이용한 음원 제작, AI 커버곡 등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처럼 음악과 AI 기술 융합이 점차 고도화되면서 AI가 K-pop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먼저, 가요계에서 활동하는 기술이 만든..
aihumanities2023-07-10279
음성 바이오마커: 질병 예측, 혈액 대신 목소리로 알아본다?
CEO처럼 카리스마 있다, 장난기 있다, 밝다, 애교가 넘친다, 신뢰가 간다, 젊다, 나이가 많다, 남성적이다, 여성적이다, 온화하다, 차갑다, 퉁명스럽다, 사랑스럽다. 이 표현들은 사람의 외모에서 풍기는 인상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할 뿐 아니라 사람의 목소리에서 받은 느낌을 묘사하기 위해서도 흔히 사용한다. 이렇듯 목소리는 타인을 언급할 때 자석처럼 따라붙는 묘사 항목으로 사람의 인상을 결정짓는 데 있어 외모에 버금가는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
aihumanities2023-07-03102
생성 AI와 외국어 교육
2023년 상반기 최대 이슈는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 AI의 일 것이다. Open AI가 작년 11월에 선보인 GPT-3.5 버전이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은 올 3월 15일에 GPT-4 버전이 공개되었다. 그리고 5월 11일 구글에서 ‘바드(Bard)’가 공개되면서 본격적인 생성 AI 경쟁 구도가 만들어졌다. 사람과 마치 대화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텍스트를 생성하고 빠르게 답을 찾아주는 생성 AI의 출현은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 것처럼..
aihumanities2023-06-26134
인공지능의 국방분야 활용: 혁신과 안전성의 균형
인공지능 기술은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미 자율주행 분야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았고 최근 ChatGPT와 같은 자연어 처리 기술은 창작의 영역에서 부터 코딩, 대학 시험, 변호사 시험 등의 테스트를 통과하며 일정수준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굳이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깃허브, 유튜브 등의 매체를 통해 공유되는 인공지능 활용법과 결과물을 보면 인공지능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다. 인공지능 기술은 국방분야에서도 큰 관심을 받..
aihumanities2023-06-13122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310관 828호  TEL 02-881-7354  FAX 02-813-7353  E-mail : aihumanities@cau.ac.krCOPYRIGHT(C) 2017-2023 CAU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