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

아카이브칼럼

칼럼

인공지능인문학과 기술비평의 과제
인공지능기술은 날로 발전하고 있지만 우리는 앞서 겪은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며 나아가고 있을까? 우리가 지금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갖는 기대와 우려는 대부분 기술의 실체에서 기인하기 보다는 ‘인공지능’이라는 이름이 만들어내는 고유한 분위기나 맥락으로부터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학습, 추론, 지각 등 인간의 고유한 감각 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해내면서 지능을 가졌거나 가질 수 있을 것 같은 인공지능은 오랜 시간 인류가 독점해 온 위치를 다양한 방식..
aihumanities2024-08-2051
맑스의 ‘대상적 활동’과 시몽동의 ‘기술적 활동’: 포스트휴먼 인문학
포스트휴먼 시대에도 여전히 문학 감성의 힘이 긍정될 것인가. 이에 대한 질문에서 인간과 기계의 공존의 문제를 중심으로 인문학적 사유를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맑스의 ‘대상적 활동’과 기술철학자 질베르 시몽동이 ‘기계적 활동’의 의미를 살펴보고 영문학 작품에서 드러난 ‘비인간적 활동’의 특징을 포스트모던 사유로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점검할 수 있다. 인간의 고유한 활동으로서의 “노동”은 노동 그 자체가 소외로서의 인간의 활동일까 아니면 노동..
aihumanities2024-08-0556
컴퓨터비전과 인공지능
컴퓨터 비전은 이미지(Image)와 동영상 등 시각(vision) 데이터를 다루는 것으로, 사람의 시각과 관련한 데이터 처리 구조를 모방하여 컴퓨터가 이미지를 식별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분야이다. 컴퓨터 비전 기술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사진이나 영상이 늘어나면서 인공지능을 학습시킬 수 있는 데이터도 충분하다.중국에서는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으며..
aihumanities2024-07-2936
2024 인공지능인문학 추천도서 독후감 경연대회 입상작 (대학일반부)
인공지능 시대의 낭만적 슬픔과 리얼리즘적 해답 -‘인간은 기계보다 특별할까?’를 읽고바야흐로 인공지능이 기술 진보의 특이점으로 부상한 시대다. 그러한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 역시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넘는 이른바 포스트휴먼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알파고와 이세돌 얘기는 우리에게 더이상 놀랍지 않다. 인간의 뇌에 칩을 이식하고 인공장기를 실제 인간 환자에게 이식하는 일이 현실화 되고 있는 시대다. 이 책은 그러한 특이점을 맞은 시대..
aihumanities2024-07-2366
2024 인공지능인문학 추천도서 독후감 경연대회 입상작 (대학일반부)
인간이 기계보다 우월하지 않다는, 인공지능에서 시작된 인문학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시대- ‘인간은 기계보다 특별할까?’를 읽고 그간 나는 인공지능이라는 단어에 감흥을 느끼지 못했다. 조만간 인공지능이 인류를 위협할 거라는 주장이 허황하게만 들렸던 탓이다. 물론 이세돌은 알파고에 4대 1로 패배했고 IBM 사(社)의 왓슨은 수년간의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인간 의사나 법관과 거의 비등한 수준의 판단을 내린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데이터의 영역일 ..
aihumanities2024-07-0954
2024 인공지능인문학 추천도서 독후감 경연대회 입상작 (대학일반부)
AI는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을까?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는 최근에 만들어진 신조어는 아니다.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내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90년대에도 이 말은 종종 쓰였었다. TV 전자제품 광고만 봐도‘인공지능’이라는 타이틀이 많이 달렸었던 기억이 난다. 우리 집 TV와 VHS 플레이어에도 이 말이 버젓이 붙어 있었다. 또한 인가 뭔가 하는 제목의 미국 장편 TV시리즈물이 매주 토요일 오후마다 방영되었던 적도 있었다. 여기서‘Z’이 지..
aihumanities2024-07-0244
2024 인공지능인문학 추천도서 독후감 경연대회 입상작 (대학일반부)
「인간이 낳고 AI가 초래한 위험사회」 | 기사를 통한 챗지피티와의 첫 만남 | 챗지피티가 ‘핫’하다고? 학생 교수 할 것없이 대학 교육에서도 챗지피티 열풍이다. 최근 광운대 신문의 ‘챗지피티(ChatGPT)와 대학 교육의 미래’라는 기사를 보게 되었다. 인공지능 시대의 학교 교육과 관련된 내용이었는데, 앞으로의 교육에서는 우리에게 AI가 정리해 준 내용을 비판적으로 운용하는 능력인 ‘AI 리터러시’가 중요하게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
aihumanities2024-06-2588
2024 인공지능인문학 추천도서 독후감 경연대회 입상작 (대학일반부)
사랑하는 아들에게 쓰는 편지, 과거의 엄마가 저는 7살 아들을 키우는 아이 엄마입니다. 어느 날 책상 위에 놓인 이 책 ‘인간은 기계보다 특별할까’를 아들이 보며 질문했습니다. ‘엄마, 인간이 기계보다 특별해?’ ‘너 생각은 어떠니?’‘유치원 코딩시간에 배웠는데 로봇은 명령을 못 하고 인간은 명령을 할 수 있어. 인간이 기계보다 특별하지.’ 경험을 바탕으로 스스로 생각해서 말하는 아들이 기특하고 귀여워 바라보다가 좀더 질문을 던져보았습니다. ‘..
aihumanities2024-06-1863
눈과 감지기의 마주봄 - ‘인간은 기계보다 특별할까?’를 읽고
2024 인공지능인문학 추천도서 독후감 경연대회 입상작 (대학일반부) 인간이 인공지능과 지구 땅따먹기를 하게 될 날이 과연 올까? 이 질문에 대하여 는 ‘그렇다’라고 대답한다. 인공지능에게 목숨과, 노동과, 도덕과, 심지어 인간이라는 존재 그 자체를 맡기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해질 것이다. 인공지능에게 인간의 무엇인가를 맡긴다는 말이 어떻게 들리는가? 무서운가? 터무니없는가? 나도 이 책을 읽기 전에는 그랬다. 하지만 지금은 조금 다르다. 인간..
aihumanities2024-06-0379
로봇의 의인화가 감정 전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타인의 얼굴 표정, 말투, 목소리, 자세 등을 무의식적으로 따라하고 자신과 일치시키면서 감정적으로 동화되는 감정 전염(Emotional Contagion)을 경험한다[1]. 감정 전염은 인간-로봇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tion, 이하 HRI)에서 로봇이 인간의 감정을 인식하고 적절한 반응을 통해 사용자와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HRI 경험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
aihumanities2024-05-1494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의 도전
인공지능이 정보 처리와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미지 생성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불과 수년 사이에 생성 인공지능은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여 쉽고 빠르게 이미지를 만들 수 있게 됐다. 또한 시각적으로 사진과 구분할 수 없을 만큼 ‘사실적인’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사진과 가상 이미지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있다. 생성 인공지능이 수행하는 과업도 매우 다양하여 기존의 방식으로는 불가능했던 놀라운 이미지 생성 능력을 보여준다. 이미지 ..
aihumanities2024-04-3071
인공지능, 너 내 동료가 돼라!
대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이야기를 나누어 보면 이들의 가장 큰 관심이자 걱정거리는 언제나, 단연 ‘진로’와 ‘취업’이다. 곧 학생 신분에서 벗어나 사회로, 직장으로 나아갈 준비를 해야 하는 시기이기에 고민이 깊은 것은 당연하고, 또 필요한 일이다. 다만 요즘 들어 학생들의 고민이 단순한 취업 걱정을 넘어서, 미래 사회에 대한 두려움이나 자기 역량에 대한 무력감과 좌절로까지 이어지는 듯하다. 사회 구조나 경제 불황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있겠지만, ‘인..
aihumanities2024-04-2257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310관 828호  TEL 02-881-7354  FAX 02-813-7353  E-mail : aihumanities@cau.ac.krCOPYRIGHT(C) 2017-2023 CAU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