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

아카이브칼럼

칼럼

글보기
로봇의 의인화가 감정 전염에 미치는 영향
Level 10조회수65
2024-05-14 11:02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타인의 얼굴 표정, 말투, 목소리, 자세 등을 무의식적으로 따라하고 자신과 일치시키면서 감정적으로 동화되는 감정 전염(Emotional Contagion)을 경험한다[1]. 감정 전염은 인간-로봇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tion, 이하 HRI)에서 로봇이 인간의 감정을 인식하고 적절한 반응을 통해 사용자와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HRI 경험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특히 사회적 속성이 강한 소셜 로봇에서 감정 공감 ㅋ은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그 결과 HRI에서 로봇에 공감 능력을 부여하여 사용자와 교감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 탐구는 주로 사람과 대화하고 교감하는 감성 중심의 소셜 로봇의 의인화(Anthropomorphism)와 관련지어 연구되었다. 

로봇 공학에서 의인화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으로 인간은 타인과 상호작용하듯이 기계와 상호작용을 원한다는 가정에 기인한 것이다[2]. 심리학적으로 의인화는 인간이 주변 환경에서 인간과 유사한 형태를 인식하는 경향을 설명하는 현상으로, 낯선 물체에 익숙한 인간을 닮은 자질을 부여하는 의인화를 통해 그것을 보다 친숙하고 설명가능하고 예측가능하게 만든다[2]. 가령 시각적으로 인간과 유사한 모습으로 의인화된 로봇 디자인은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 로봇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을 낮춘다[1]. 나아가 로봇의 의인화된 외관은 로봇과 사용자 간의 정서적 연결을 강화하고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가령 Song 외[3]에 따르면 사람들은 로봇의 얼굴이 귀엽고 보호본능을 일으키는 아기도식(Baby Schema) 특징을 가진 경우 보다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큰 눈은 작은 눈에 비해 얼굴 의인화 신뢰도가 높았고, 입의 수직 위치가 높거나 중간이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얼굴 의인화 신뢰도가 높았다. 하지만 입 크기는 얼굴의 의인화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로봇 외관의 의인화 수준은 사용자에 의해 인식되는 로봇의 젠더에 따라 감정 전염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eo(2022)[4]에 따르면 남성 서비스 로봇에 비해 여성 서비스 로봇이 더 큰 행복감과 만족감을 이끌어 내고, 서비스 로봇 외관의 의인화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행복감과 만족감 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eo(2022)[4]에서 이러한 양상은 외모와 행동에서 고도로 의인화된 서비스 로봇이 인간과 유사하기 때문에 로봇의 젠더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이 더 강해지고, 그에 따른 감정 전염에서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이 더욱 강화된 것으로 보았다. 최근 Yang과 Xie[5]는 감정 전염과 관련하여 의인화 및 로봇 젠더의 역할에 대한 흥미로운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긍정적인 감정의 맥락에서 의인화 수준이 높을 경우 남성 로봇이 여성 로봇에 비해 사용자에게 더 강한 감정 전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인화 수준이 낮을 경우 여성 로봇이 남성 로봇에 비해 더 강한 감정 전염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모두 소셜 로봇의 의인화된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감정 전염 및 상호신뢰 관계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이들 연구는 로봇이 사용자에 의해 지각되어지는 양상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 방법과 포괄적인 연구를 통해 높은 교감과 신뢰도에 기반한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남영자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연구교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Yang, W., & Xie, Y. (2024). Can robots elicit empathy? The effects of social robots’ appearance on emotional contag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Artificial Humans, 100049.
[2]. Fink, J. (2012). Anthropomorphism and human likeness in the design of robots and human-robot interaction. In Social Robotic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ICSR 2012, Chengdu, China, October 29-31, 2012. Proceedings 4 (pp. 199-208). Springer Berlin Heidelberg.
[3]. Song, Y., Luximon, A., & Luximon, Y. (2021). The effect of facial features on facial anthropomorphic trustworthiness in social robots. Applied Ergonomics, 94, 103420.
[4]. Seo, S. (2022). When female (male) robot is talking to me: Effect of service robots’ gender and anthropomorphism on customer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102, 103166.
[5]. Yang, W., & Xie, Y. (2024). Can robots elicit empathy? The effects of social robots’ appearance on emotional contag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Artificial Humans, 100049.

첨부파일portrait-person-ai-robot.jpg (73.5KB)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310관 828호  TEL 02-881-7354  FAX 02-813-7353  E-mail : aihumanities@cau.ac.krCOPYRIGHT(C) 2017-2023 CAU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