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

아카이브칼럼

칼럼

AI를 통해 과거를 연구하기
AI와 관련하여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인공지능 기술이 가져올 미래사회에 대한 모습일 것이다. 자율주행 자동차를 타고 집으로 돌아와 로봇이 준비해둔 식사를 하고 가상현실을 통해 사람들을 만나는 일상 등, AI 기술은 자연스럽게 “미래”라는 개념과 연결되어 왔다.AI 기술은 미래에 대한 상상의 재료가 될 뿐 아니라 과거를 되돌아보고 이를 재구성하는 도구로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무엇보다AI 기술의 도입은 기록 보관소에 소장된 사료들을 “..
aihumanities2023-02-06206
융통성 없는 인공지능
“사람은 아래와 같은 그림을 보고 어떤 생각을 할까?” “그렇다면 과연 인공지능은 아래와 같은 그림을 이해하고 비슷한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여러가지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반인반수’와 같이 실제로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그림도 당황하지 않고 융통성 있게 잘 판단할 것임이다. 그러면 인공지능은 어떨까? 가령 위와 같은 이미지만 보고 실제하기는 어렵지만 상상력이 발휘된 그림이라고 추론해 낼 수 있을까? 또는 현실 세계에서 실수로 물건을 떨어뜨리..
aihumanities2023-01-31192
예측 집착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 관련한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이자 개념 중 하나로 ‘빅데이터’를 들 수 있다. 컴퓨터,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각종 디지털 미디어의 사용이 선택이 아닌 필수로 되면서, 이들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방대한 데이터가 그 이용자의 행동과 사고, 심지어 감정까지도 표출하므로, 이를 ‘프로파일링’하면 이용자의 과거와 현재 뿐만 아니라 그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 빅데이터 알고리즘 사고의 배경이다. 온라인 홈쇼..
aihumanities2023-01-24168
AI의 이미지 생성 능력과 예술적 창의성
2022년 8월 미국 콜로라도주 주최의 예술 공모전 디지털 예술 부문에서 사람이 아닌 AI가 생성한 이미지를 리터칭한 작품이 우승을 했다. 이후 아티스트는 수상 사실을 소셜미디어를 통해 알렸는데, 대중들의 반응은 그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예술에 대한 논쟁으로까지 이어졌다. AI가 만든 작품을 예술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 그것을 공모전에 출품해도 되는지, AI의 예술적 가치를 인정하고 상을 수여할 수 있는지 등 다양한 질문들이 쏟아졌다. 물론 게임..
aihumanities2023-01-17292
창작자 패러다임과 집단지성의 내일
‘창작자’가 되기 위한 진입장벽이 요즘만큼 낮은 시대가 없다. 영상, 소설, 음원, 미디어 아트, 기타 전문강좌 등 디지털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플랫폼의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게 되었다. 이들은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틱톡 등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에 본인의 일상이나 전문지식, 기발하거나 재미있는 짧은 분량의 영상인 ‘숏폼’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제페토, 로블록스 등 메타버스 플랫폼에 본인의 창의..
aihumanities2023-01-10149
위드 코로나 속 공연예술, 그리고 메타버스
2022년 4월 18일,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5월 2일 마스크 착용 의무가 일정 부분 완화되면서, 일상으로의 회복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예술계에서도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대면이 가능한 오프라인 무대들이 재가동 되고 있다. 위드 코로나를 넘어 포스트 코로나를 기다리고 있는 시기적 흐름에 맞춰, 비대면 시대 공연예술의 새로운 돌파구였던 메타버스 공연과 관련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로서의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메타..
aihumanities2023-01-03292
인공지능의 “망각”
인간이 가진 기억 용량의 본질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간은 끊임없이 도구와 기술을 개발해왔다. 돌에 그림을 그리던 것에서 시작해서 글을 쓰고, 사진을 찍고, 영상을 녹화하며 더 오래, 더 많이 기억하기 위한 기술과 기계를 개발해왔다. 인간의 기억 활동을 돕기 위해 ‘기록’하는 매체와 ‘저장’하는 매체가 개발됐다. 특히 19세기에는 축음기, 사진기 등 흘러가버리는 시간을 기록하고 동시에 저장하는 매체들이 등장하면서 인간의 시간 경험을 확장하..
aihumanities2022-12-26196
수익형 플랫폼과 플랫폼 생산성의 역설
근래의 디지털 환경이 대중에게 매력적인 공간으로 여겨지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이것이 ‘돈을 벌게’ 해준다는 것이다. 많이들 얘기하는 X2E(X-to-Earn) 모델이다. 여기서 ‘X’에 대입되는 활동은 다양하다. 게임(Play), 운동(Move), 소비(Consume), 창작(Create), 학습(Learn) 등, 각종 온라인 활동을 즐기면서 돈도 벌 수 있다고 한다. 블록체인 생태계의 확산과 가상자산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플랫폼 또한 이..
aihumanities2022-12-19173
‘Entertainment Scene’에 등장한 ‘Virtual Human’
국내 가상인간 활동 영역이 점차 확장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비대면·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주목받았던 가상인간들이 일상으로 회복 중인, 현 시점에도 문화계 전반에 걸쳐 도전의 움직임을 활발히 하고 있다. 특히, 대중에게 접근이 용이하고, 대중들도 보다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시장에 가상인간들이 뛰어들고 있다. 국내 가상인간은 SNS를 기반으로 그 입지를 다지고, 광고에 등장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
aihumanities2022-12-13823
미증유의 얼굴 - AI의 오류 이미지
AI가 실수로 빚어낸 놀라운 얼굴들! 인간에게 도전장을 내민 알고리즘의 세계 알고리즘의 계산 착오로 생성된 기이한 이미지들, 인간의 상상력을 넘어선 AI의 예술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최근 AI가 만들어낸 가상 인물들은 진짜와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정교함을 보이며 광고나 엔터테인먼트, 문화예술 등의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런 가상 인물을 만들어내는 생성모델은 ‘적대적생성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
aihumanities2022-12-05180
기록의 미래
엠넷 AI프로젝트 ‘다시 한번’의 故 김현식 1)지난 몇 년간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고인이 된 가수들이 돌아왔다. 신해철, 김현식, 김광석부터 터틀맨 임성훈, 울랄라세션의 임윤택까지 대중에게 아쉬움을 남기고 떠난 가수들이 생전 자신의 노래뿐 아니라 새로운 노래를 함께 부르며 현재를 살아가는 대중들 앞에 나타났다. 대중 스타 뿐 아니라 위인도 살아나서 김구, 유관순 등이 이끄는 토크쇼도 있다. 해외에서도 마이클 잭슨, 휘트니 휴스턴 등 세계적..
aihumanities2022-11-28163
NFT는 플랫폼의 미래일까
그야말로 NFT ‘열풍’이다. 최근의 디지털과 인터넷 문화, 콘텐츠, 산업 트렌드는 NFT를 빼놓고 설명할 수가 없을 정도다. 혹여 NFT가 무엇인지 정확히 모르는 사람이라도, ‘지루한 원숭이 요트 클럽’이니, ‘크립토펑크’니,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는 (심지어 때로는 별로 미학적 가치가 있는지도 모르겠는) 원숭이 그림이나 점으로 대충 찍어낸 듯한 사람 얼굴 그림 한 장의 호가가 몇 억에 이른다는 기상천외한 이야기를 접한 적이 있을 것이다. 유..
aihumanities2022-11-08275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310관 828호  TEL 02-881-7354  FAX 02-813-7353  E-mail : aihumanities@cau.ac.krCOPYRIGHT(C) 2017-2023 CAU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