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

학술활동연구논문

연구논문

학술활동연구논문

연구논문

제목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인조인간’ 인식에 대하여: 인공지능 이전의 징검다리로서2019-12-10 10:31
작성자 Level 10

고유번호: http://www.riss.kr/link?id=A106406671

제목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인조인간인식에 대하여: 인공지능 이전의 징검다리로서

= Perception of a “Mechanical Person” in the 1930’s, Colonial Joseon: As a Stepping Stone Toward AI

저자명: 한미라

학술지명: 문화와 융합

권호사항: 41/5

수록면: 717-746

발행년도: 2019

등재정보: KCI등재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 machine that “imitates human thinking.” The desire to create such a mechanism originated from the ancient automatic doll. In the 20th century, the automatic doll or the Mechanical Person, which mimicked simple movements of humans, was developed, and this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creation of AI.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history of AI by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atterns and representations of the Mechanical Pers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s a prototype of AI.
This paper examines the level of recogn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the discussions about the Mechanical Person in colonial Joseon in the 1920s and ’30s, and explores its relationship with current AI technology.
The first attempt to make a Mechanical Person, whose behavior resembled that of humans, was introduced to Joseon in the 1920s.
In 1929, the “Hakcheon Chik,” the first Mechanical Person in Asia, was made in Japan. It was exhibited at the Joseon Expo, so that Koreans could get a chance to view the real Mechanical Person.
However, after continuously analyzing articles about the creation of the Mechanical Person and the future prospects introduced until the 1930s, there was no evidence that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Mechanical Person stimulate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t that time, there were quite a few articles showing that the Mechanical Person would change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However, they did not prove to be empirical, except that there would be recurring social problems caused by machines replacing human labor, immediatel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t was a rather vague prospect of creating the same organics as human beings, or adapting contents that seemed to emanate from science fiction to instill uncertainty among the public.
There was also an article that seriously cited human crosses by linking the creation of the Mechanical Person, which should be based on engineering or physics, with eugenics.
This reveals the poor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colonial Joseon at that time, and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dialogue about the Mechanical Person in the 1930s is not strong.
Then, why was Imperial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not interested in the Mechanical Person at the time? This is because Japanes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ed only in the fields where it could be applied immediately since the Meiji Restoration, that is, the industrial and military fields. Therefore, it was difficult for colonial Joseon, which was subordinate to Japan, to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of the Mechanical Person. 


인공지능은 ‘인간의 사고를 모방’한 인공적 창조물인데, 이러한 존재를 창조하고 싶다는 욕망은 고대의 자동인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20세기에는 인간의 간단한 동작을 모방하는 자동인형이나 인조인간이 만들어지면서 보다 발전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인공지능을 창조하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인공지능의 원형으로서, 20세기 전반기 인조인간의 제작 양상과 표상을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의 전사(前史)를 규명하는 작업은 과학기술사적으로 의미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인조인간 담론을 통해 당시 과학기술 인식 수준을 검토하여, 현재 인공지능 기술과의 관련성 유무를 탐색하였다. 우선 1920년대로부터 인간의 행동을 흡사하게 재현한 인조인간이 제작된 해외의 사례가 흥미 있는 사례로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29년에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동양 최초의 인조인간 ‘학천칙’이 조선박람회에 전시되어, 조선인들이 실제 인조인간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기회도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소개된 인조인간 제작 사례와 이를 토대로 제시된 미래의 전망에 관한 기사를 분석한 결과는 인조인간을 실제로 목도함으로써 과학기술의 발전에 자극제로 작용한 흔적을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당시 인조인간이 변화시킬 미래에 관한 전망을 제시한 기사가 적지 않게 등장하였지만, 산업혁명 직후 기계가 인간 노동의 영역을 대신하면서 야기된 사회적 문제가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를 제외하면 그다지 생산적인 담론으로 기능했다고 보기 어렵다. 인간과 동일한 유기물을 창조할 수 있다는 다소 허황한 전망이 제시되는가 하면, 공상과학소설에서 유래한 듯한 내용을 각색하여 막연한 공포를 대중들에게 심어주는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공학이나 물리학에 기초하여야 하는 인조인간의 제작을 우생학과 결부시켜 인간의 이종교배를 진지하게 인용하는 기사도 등장하였다. 이는 당시 식민지 조선의 척박한 과학기술 수준을 드러내고 있으며, 해방 이후 과학기술의 발전과 1930년대 인조인간 담론의 연관성은 높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그렇다면 식민지를 포함한 제국일본의 과학기술이 인조인간에 관심이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메이지 유신 이래 일본의 근대 과학기술이 당장의 응용이 가능한 분야, 다시 말해 산업과 군사 분야에 종속되어 발전했기 때문이다. 당연히 그에 종속되었던 식민지조선에서도 인조인간에 대한 담론도 깊이 있게 전개되기 어려웠다.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310관 828호  TEL 02-881-7354  FAX 02-813-7353  E-mail : aihumanities@cau.ac.krCOPYRIGHT(C) 2017-2023 CAU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