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

학술활동연구논문

연구논문

학술활동연구논문

연구논문

제목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조 연구 방법 탐색 -『한국시조대사전』 수록 단형시조를 중심으로-2021-05-28 13:21
작성자 Level 10

http://www.riss.kr/link?id=A107047926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조 연구 방법 탐색 -『한국시조대사전』 수록 단형시조를 중심으로- 

인류는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급격한 변화를 마주하고 있다. 이는 인류의 삶에 커다란 변화를 주고 있고, 문학 연구 또한 예외가 아니다. 본고는 이러한 변화에 부합하여,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새로운 고전문학 연구 방법론을 디지털 분석 기법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탐색해 보고자한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시조대사전』(박을수 편저,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2)에 수록된 4,736수의 시조 작품 중에서 장형시조를 제외한 4,127수를 대상으로 하여 계층 분석과 딥러닝을 활용한 디지털 분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계층 분석을 통해서 수록 편수가 30수 이상인 13명의 작가에 대한 작가별 시조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어휘와 어휘의 조합 양태가 유사한 4개의 그룹을 추출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딥러닝을 통하여 1600~1800년대까지의 작품을 대상으로 시조 창작 연대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현해 보았다. 시기별로 예측의 정확도가 동일하지는 않았으나, 향후 작가 미상의 작품들이 창작된 연대를 예측하고, 연대별 작품의 특성을 살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기존에 형태소가 일치되는 시조만을 검색할 수 있었던 전통적인 검색 방법에서 한 걸음 나아가, 시조에 대한 딥러닝 의미 검색을 구현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나 문장(Query)과 형태소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내용적으로 유사한 의미를 지닌 작품을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이는 방대한 분량의 시조작품을 주제별, 혹은 키워드 별로 분류하고 분석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연구 방법이 오롯이 전통적인 연구방법을 대체할 수는 없겠지만, 새로운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의 모색과 시도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310관 828호  TEL 02-881-7354  FAX 02-813-7353  E-mail : aihumanities@cau.ac.krCOPYRIGHT(C) 2017-2023 CAU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