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

학술활동연구논문

연구논문

학술활동연구논문

연구논문

제목인공지능 시대 빅 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2019-05-27 10:46
작성자 Level 10

고유번호: http://www.riss.kr/link?id=A106190805


제목: 인공지능 시대 빅 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

= “Humanistic Turn” of Big History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


저자명: 김기봉(Kim, Gi Bong)


권호사항: Vol.- No.22 [2019]


수록면: 63-88(26쪽)


발행처: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발행년도: 2019년 


등재정보: KCI등재


초록: 

근대 역사학은 과학의 한 분과로 정립될 목적으로 연구 범위를 문자 사료가 남아 있는 과거로 한정했다. 그러다 보니 역사학이 연구하는 과거의 범위는 5,000년을 넘지 못한다. 이에 반해 과학은 호모 사피엔스의 탄생은 물론 빅뱅으로까지 소급해서 과거에 대한 지식을 확장했다. 역사학이 축소지향형으로 연구의 대상을 좁혔던 반면, 과학은 확대지향형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했다. 이런 역설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인류의 과거를 가장 큰 범위로 넓혀서 역사를 탐구할 목적으로 등장한 것이 빅 히스토리다.

빅 히스토리는 인문학과 과학의 ‘두 문화’를 통합하는 윌슨이 말하는 ‘통섭’을 대표한다. 하지만 데이비드 크리스천이 창시한 모든 것의 기원을 탐구하는 빅 히스토리는 ‘인간 없는 역사’로 서술되기 때문에 재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적인 성찰이 빈곤하다. 이런 기원론적 빅 히스토리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 주는 대안적 모델이 유발 하라리가 썼던 종말론적 빅 히스토리다.

인공지능 시대 인류는 새로운 임계국면에 직면해 있다. 이런 인류 역사의 전환점에서 두 유형의 빅 히스토리를 종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양으로서 빅 히스토리와 ‘초역사’로서 빅 히스토리를 제안한다.


키워드:

빅 히스토리  ,인문학적 전환  ,데이비드 크리스천  ,유발 하라리  ,교양교육  ,초역사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310관 828호  TEL 02-881-7354  FAX 02-813-7353  E-mail : aihumanities@cau.ac.krCOPYRIGHT(C) 2017-2023 CAU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