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

학술활동연구논문

연구논문

학술활동연구논문

연구논문

제목디지털 맵핑(Mapping)을 통한 <구운몽> 연구 및 교육적 활용2019-12-10 10:24
작성자 Level 10

고유번호:  http://www.riss.kr/link?id=A106424624

제목 : 디지털 맵핑(Mapping)을 통한<구운몽> 연구 및 교육적 활용
= Research and Educational use of The Cloud Dream of the Nine Through Digital Mapping

저자명: 강우규, 김바로  

학술지명: 열상고전연구  

권호사항: 69 [2019]  

수록면: 217-247  

발행년도: 2019  

등재정보: KCI등재


This paper aims at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literary research methodology using digital analysis method. So We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loud Dream of the Nine by using digital mapping.
First, I compared the space names of "NoJonA(老尊本A)," "NoJonB(老尊本B)," and "Kyujanggak(奎章閣本)", representative versions of <The Cloud Dream of the Nine Through this, we will explore the various aspects and meanings of the space in the works, and explore the space of The Cloud Dream of the Nine as a realistic geographic space, a space combining literary quotation and actual geography, a space combining literary quotation and fictional imagination.
The digital map of The Cloud Dream of the Nine was constructed by separating layers for the general public and researchers. A layer composed of basic content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level of the general public, and a layer describing the related nuclear power source and the source specific to the researchers.
The digital map of The Cloud Dream of the Nine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digital archive, and fusion contents for education. It is a digital archive that integrates the meaning of various spaces in the works, the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t, IP address, and related space, so anyone interested can easily access, verify and utilize the data. In addition, The digital map of The Cloud Dream of the Nine can help teach human geographic thinking and how to enjoy literature through the sources and usage of various spaces.

본고는 디지털 분석 방법을 활용한 고전문학 연구방법론의 개발을 목표로 디지털 맵핑을 통해 <구운몽>의 공간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구운몽>의 대표 이본으로 꼽히는 노존본A, 노존본B, 규장각본의 공간명을 비교 검증하여 문학지리적으로 고증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간의 다양한 양상과 의미를 살피고, <구운몽>의 공간을 실제 지형 지리 공간, 전고와 실제 지형 지리가 결합된 공간, 전고와 허구적 상상력이 결합된 공간 등으로 유형화하였다.
공간에 대한 고증과 유형화 결과를 토대로 <구운몽> 디지털 맵은 기본적인 작품의 내용 정보만을 기술한 “구운몽_일반” 레이어와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관련 원전과 연구논문 및 출처 등을 추가한 “구운몽_고증” 레이어를 분리하여 구축하였다.
이러한 <구운몽> 디지털 맵은 작품에 대한 디지털 아카이브, 교육용 융합콘텐츠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구운몽>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 및 자료 등을 집적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로서,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누구나 접근해서 손쉽게 자료를 확인하고 검증하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에 대한 다양한 전고들, 그리고 전고를 활용하는 방식들을 통해 당대의 인문지리적 사고와 문학 향유방식 등을 교육할 수 있다.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310관 828호  TEL 02-881-7354  FAX 02-813-7353  E-mail : aihumanities@cau.ac.krCOPYRIGHT(C) 2017-2023 CAU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