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번호: http://www.riss.kr/link?id=A106336832
제목: 삶의 의미 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Search for meaning in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A mediating role of hope and a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저자명: 박지영 ,정예슬
학술지명: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권호사항: 16/2
수록면: 159-187
발행년도: 2019
등재정보: KC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light on a role of hop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and to suggest ways to increase hope among Korean students. We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for meaning in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would be mediated by hope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for meaning and hope would be strengthened by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We conducted two surveys to examine the hypotheses. Based on Study 1 using a sample of 190 undergraduate students, we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for meaning in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was fully mediated by hope. In Study 2, we examined the four types of hope that include internal hope and three types of external hope (i.e., family, friends, and supernatural being) to extend knowledge on what features of hope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arch for meaning and academic satisfaction. Study 2 based on a sample of 313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at the link from 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was fully mediated by internal hope and external-peers hope. The mediating effects of external-family hope and external-spiritual hope were not significant in Study 2. Also, we found that family support strengthened the positive links from 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 to hope (Study 1) and to internal hope (Study 2) while the interactive effects of friend support and the search for meaning on hope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sever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에서 희망의 역할을 파악하고 희망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를 희망이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고, 삶의 의미추구와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 및 친구지원의 조절효과를 예상하였다. 연구 1에서 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희망이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희망을 내적 희망과 가족, 친구, 초월적 존재에 기반 한 외적 희망으로 구분하여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에서 희망의 역할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등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연구 2),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가 내적 희망과 친구에게 기반 한 외적 희망에 의해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및 초월적 존재에 기반 한 외적 희망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삶의 의미추구와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가족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삶의 의미추구와 희망의 정적 관계(연구 1) 및 삶의 의미추구와 내적 희망의 정적관계(연구 2)가 강하게 나타났다. 삶의 의미추구와 희망의 관계에서 친구지원의 조절효과는 연구 1과 연구 2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