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

아카이브칼럼

칼럼

제5회 인문페스티벌을 통해 본 인공지능인문학 키워드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사업단의 지역인문학센터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기술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의 긍정적 가능성과 부정적 전망 등 다양한 쟁점을 탐색하고 인간과 인공지능의 바람직한 공존 가능성을 모색하는 ‘인문페스티벌’을 개최해오고 있습니다.올해로 5회를 맞는 ‘인문페스티벌’은 “제5회 인공지능인문학 대학생 학술논문 경연대회”와 “제3회 인공지능인문학 추천도서 독후감 경연대회(초등부, 중고등부, 대학일반부)”로 진행되었습니..
aihumanities2022-05-03200
“새로운 기억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박사논문을 준비하던 2018년 어느 날, 핸드폰 알림을 통해 새로운 기억이 도착했다. 나에게 ‘새로운 추억’이 있다는 흥미로운 알림을 타고 들어가니 한 해 동안 내가 사진첩에 저장한 사진의 일부가 잔잔한 배경음악과 함께 짧은 영상으로 엮여있었다. 함박눈이 쏟아지던 날 집 앞 사진, 새로 산 꽃 화분 사진, 해바라기 밭에서 찍은 독사진, 뉴욕 여행 중 찍은 사진 일부, 친구의 졸업식, 미국에 방문한 가족들과 방문한 바닷가와 숙소 사진들이 차례로 ..
aihumanities2022-04-26190
웹 2.n 시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창시자로 꼽히는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는 1989년 탄생한 제 1세대 웹을 정보information의 연결망으로 규정했다. 이 시기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의 도입은 곳곳에 두서없이 산재한 정보가 연결되고 검색되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꾸었으나, 여기서 웹 상의 콘텐츠는 오직 읽기만 가능한 형태였다read-only. 약 십여 년 이후, 웹은 우리가 익히 알고 또 경험하는 2세대의 형태로 ..
aihumanities2022-04-18178
인공지능 번역은 남성에 우호적이다?
제 아무리 요리계의 초능력자라 불리는 미쉐린 3스타 셰프인 고든 램지일지언정 신선하지 않은 식재료로 최상의 맛을 내기란 어려울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시 편향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알고리듬은 편향적인 결과를 산출하기 마련이다. 2018년 네이처(Nature)1)지에서 스탠포드대 조우(Zou)와 쉬빙거(Schiebinger) 교수는 그간 학계와 산업계의 컴퓨터 과학자들은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보다 정교하게 만드는 것에만 주목했을 뿐, ..
aihumanities2022-04-12208
인공지능 면접관의 취향을 찾아서
면접장에 들어가서 지원자가 면접관을 마주하고 인사를 나누고 나면, 짧은 시간 안에 면접관은 지원자의 첫인상을 평가한다. 그러나 평가는 쌍방으로 이뤄진다. 지원자가 면접 중에 보여주는 이미지(외형, 인상관리, 언어적 및 비언어적 행동 등)은 면접 결과에 영향을 줄 것이다. 따라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인상을 파악하는 동안 지원자 역시 면접관을 파악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어떤 면접관은 밝게 웃으며 농담으로 긴장을 풀어주며 자유분방한 분위기에..
aihumanities2022-04-04236
AI와 이데올로기
“인공지능은 기술이 아니라 이데올로기다.(AI is an Ideology, Not a Technology)” “AI는 인간의 존재를 인정하지 못하는 위험한 신념이다.(At its cor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perilous belief that fails to recognize the agency of humans)” WIRED​1)의 두 헤드라인은 중국이 AI 기술을 급속도로 발전시키기 위해 아무런 규제도..
aihumanities2022-03-29285
메타인지 : AI 시대, 나는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상위 0.1%의 학생들의 공통능력은? 메타인지! ” 한 사교육 회사에서 2021년 하반기 새롭게 출시된 교육 프로그램 광고이다. 틀어놓은 텔레비전에서 우연히 이 광고를 보고는 다소 놀라웠다. 이번에 게재한 논문에서 AI 리터러시의 기본 역량으로 메타인지를 설명했었기 때문이다. ‘메타인지(metacognition)’를 AI 시대 교육의 중요 역량으로 생각한 이유는 AI 시대는 교육 환경도, 사회 진출 환경도 달라진 상황에서 하나의 완전한 프로그..
aihumanities2022-03-22283
자율주행차, 무엇이 문제인가
인공지능에 대한 논의에서 항상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는 것은 바로 자율성(autonomy)이다. 여기서 말해지는 자율성은 무슨 자율성인가? 자율성은 한 덩어리인가 아니면 정도 차이를 갖고 펼쳐지는 스펙트럼인가? 인공지능과 관련된 철학적, 윤리학적 논의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자율성이 정도 차이를 가진다고 전제한다. 자동차와 결합한 인공지능, 즉 소위 ‘자율주행차’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자율주행차를 통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자율주행시스템(aut..
aihumanities2022-03-14214
희미해져 가는 가상과 현실의 경계
- 퓨전 게임판타지 웹소설과 VR·AR 기술의 발달 -2000년대 라는 가상현실 게임 소재의 인터넷 소설이 크게 유행하였다. 이후 는 ‘게임 판타지 소설’이라는 장르 유형의 정립을 이끌었다. 와 같은 게임 판타지 소설은 MMORPG가 성행하던 당시의 시대 상황 속에서 MMORPG의 양식을 소설에 재현하여 독자들에게 게임과 소설의 재미를 모두 충족시켜주었다. 이러한 게임 판타지 소설에서 가상현실 게임과 실제 현실은 이원화된 공간으로 형상화되었다...
aihumanities2022-03-06248
비동시적 AI 면접의 한계
최근 인재 선발 과정에 도입된 혁신으로 손꼽히는 건 다름아닌 AI 기술을 사용한 비동시적 비디오 면접(asynchronous video interview)일 것이다. AI 기술을 사용한 비동시적 비디오 면접은 머신러닝을 수반하며, 시각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재인하는 기술을 통해 가장 이상적인 후보자의 모습을 닮은 지원자를 찾아낸다 (Celiktutan & Gunes, 2015 참고). 비동시적 비디오 면접은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거..
aihumanities2022-02-28304
‘시(詩)’도 인공지능 번역이 되나요?
인공지능 번역이 등장한 이래 사람들의 가장 빈번한 질문 가운데 하나는 아마도 ‘문학도 인공지능 번역이 가능한가요?’일 것이다. 이는 필자가 인공지능 번역을 접했을 때 가장 먼저 던진 질문이기도 하다. 특히 압축적이고 함축적인 언어의 결정체인 시(詩)에 대한 인공지능 번역의 퍼포먼스가 사뭇 궁금하다. 한국인에게 잘 알려진 시 두 편을 골라 네이버 파파고와 Google Translate(이하 GT)의 퍼포먼스[1]를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첫 번..
aihumanities2022-02-21281
버추얼 휴먼이 휘어잡는 온라인 세계
가상세계와 현실세계가 융합한 '메타버스'가 현 시대를 대변하는 트렌드로 떠오른 상황에서, 관련 범주인 ‘버추얼 휴먼(Virtual Human, 이하 가상인간)’ 역시 세간의 관심이 뜨겁다. 가상인간이 실제 인간처럼 소셜미디어에서 수많은 팔로워들과 일상을 공유하고, 광고와 인터뷰, 그리고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라이브 방송을 통해 직접 소통하며, 미디어를 넘어 사회까지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이들이 바로 ‘버추얼 인플루언서(Virtual..
aihumanities2022-02-141043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310관 828호  TEL 02-881-7354  FAX 02-813-7353  E-mail : aihumanities@cau.ac.krCOPYRIGHT(C) 2017-2023 CAU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